Today_I_Learned/Web 개발
-
아키텍처 이론은 실제 실무에선 어떻게 적용될까? (feat. 레이어드 아키텍처, 클린 아키텍처, 항해플러스)Today_I_Learned/Web 개발 2025. 3. 23. 15:58
서론상사로부터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로직을 분리하라는 조언을 듣게 되었다. 소프트웨어 개발 시 각 계층의 역할을 구분 짓고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 아키텍처를 항해에서 배웠던 것 같은데... 가물가물한 기억을 다시 되새김질 하기 위해 항해 플러스 과정을 진행할 당시 필기했던 내용을 펼쳐 보았다. 오마이 갓! 각보다 많은 내용이 내 머리 속에서 휘발된 상태였다.역할과 책임을 분리하는 것과 관련 있는 개념은 레이어드, 클린 아키텍처였다. 이 개념들을 다시 정리하기 위해, 이번에는 실무 적용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, 왜 계층 간 역할을 구분지어야 하는지 정확히 알기 위해 항해 플러스 과정을 복습하고 이 포스팅으로 정리하게 되었다. 본론1. 레이어드 아키텍처와 클린 아키텍처 개념 및 사용 이유1) 레이어드 아키..
-
브라우저의 번역 기능을 사용하면 가끔 서버 기능이 오동작 하는 이유Today_I_Learned/Web 개발 2024. 11. 18. 13:45
현상)미리 준비된 data 리스트를 불러와 -> 원하는 일부 data 선택 -> 서버로 전송 -> 서버는 선택된 data 를 DB에 저장 -> 필요 시점에 저장한 data 를 불러와 -> 사용위와 같은 순서로 동작하는 기능이 있는데 마지막 '사용' 단계에서 Error 가 발생함. 원인 파악 과정)DB 에 저장된 data 의 모양새를 보니 다른 data 들과 양식이 다른 것을 확인-> data 가 어느 시점에서 잘못 생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작의 역순으로 디버깅 -> 'data 선택' 단계에서 선택된 data 가 이상한 모양으로 변수에 담기고 있다는 것을 console 출력으로 확인원인은 바로 웹 브라우저의 내장 번역 기능을 사용하면서 html code 가 변형되었기 때문.더 정확히는 번역을 위해 웹..
-
Web 개발 시 주의할 점 (1) - 해쉬Today_I_Learned/Web 개발 2024. 10. 18. 13:21
1. hash 를 잘 활용하자.TestModel.objects.filter(column_name=value) 를 작성한 나에게 상사가 말했다.여기서 사용하려고 hash를 넣은거에요 text로 비교하지말고 hash로 비교해요hash 를 직접 사용해 본적이 없었기에 hash 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일아보았고 조사 결과를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.조건)model 이 자신을 어느 정도 식별할 수 있는 column 을 가지면서, 해당 값을 hash 로 변환한 값도 갖는 경우. 혹은 그렇게 기획되었거나 그렇게 바뀔 예정인 경우.(여기서 '어느 정도' 라는 모호한 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id 처럼 완벽하게 고유한 값이 아닌 경우도 포함하기 위함이다.)ex)| id | name | name_hash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