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Kubernetes 설치2 : ~ Cluster 구성(Multi Node 구성 : Master / Worker)Today_I_Learned/etc 2021. 9. 8. 18:25
1. Control Plane 설치 : Control Plane 으로 사용할 PC에서만 수행
1) Control Plane의 Cluster 생성
sudo kubeadm init
위 명령어로 Cluster 생성이 끝나면 출력된 Log 맨 아래에 'kubeadm join~' 로 시작하는 token 값이 있다. 이를 잘 저장해놓아야 한다.
2) 일반 user 계정에서 kubectl 명령어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 수정
mkdir -p $HOME/.kube sudo cp -i /etc/kubernetes/admin.conf $HOME/.kube/config sudo chown $(id -u):$(id -g) $HOME/.kube/config
3) CNI 설치 : Container Network Interface. Node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Tool
CNI도 종류가 다양한데 영상에서는 waeve 를 사용하고 있다.
kubectl apply -f "https://cloud.weave.works/k8s/net?k8s-version=$(kubectl version | base64 | tr -d '\n')"
4) 설치가 정상적으로 잘 되었는 지 확인 : STATUS가 Ready여야 한다. Not Ready 일 경우 조금 기다렸다가 재시도. (아직 이유는 모르지만 kubectl get nodes 는 CNI 를 설치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함.)
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control Ready control-plane,master 21m v1.22.1
2. Worker node로 사용할 PC를 Master node에 join : Worker Node로 사용할 PC에서만 수행
Master node에서 kubectl init 할 때 저장해두었던 token을 그대로 복사하여 Worker node에 입력한다.
sudo kubeadm join [IP:Port] --token [~] --discovery-token-ca-cert-hash sha256:[~]
[ ] 안에는 각자의 화면에 출력된 값 넣기.
3. join 확인 : STATUS가 모두 Ready일 때까지 대기. Ready가 되면 성공!
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control Ready control-plane,master 41m v1.22.1 node1 Ready <none> 13m v1.22.1 node2 Ready <none> 7m38s v1.22.1
참고 영상) 따배쿠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lheclzO-G7k&list=PLApuRlvrZKohaBHvXAOhUD-RxD0uQ3z0c&index=4
'Today_I_Learned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ubernetes 자주 쓰는 명령어 (0) 2021.12.16 VirtualBox로 .vdi -> .qcow2로 변환하기 (0) 2021.10.13 Kubernetes 설치1 : ~ Kubernetes 설치까지 (0) 2021.09.08 Kubernetes 초보자에게 딱 적절했던 설명 영상 추천 (0) 2021.03.16 IS-IS Protocol 정리 (0) 2021.01.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