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IS-IS Protocol 정리Today_I_Learned/etc 2021. 1. 25. 23:12
ISIS
IS : Intermediate System = 보통은 Router를 의미한다고 하는데 더 정확히는 IS-IS 기능을 수행하는 System이므로 Router뿐만 아니라 Interface를 의미할 때도 있다고 생각하면 될 듯.
Level & Area <- IS-IS의 주요 개념
Level 1 IS : 같은 Area 안에 속한 IS하고만 Routing 정보를 주고 받(=통신)을 수 있는 IS.
Level 2 IS : 다른 Area의 IS 와 통신할 수 있는 IS. Level 2 IS는 IS-IS domain(IS-IS Area를 의미하는 듯)내의 모든 Routing 정보를 알고 있다.
Level 1-2 IS : Level 1과 Level 2 IS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IS. Router에 IS-IS를 설정하고 Level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설정되는 Level.
Area : OSPF의 Area와 동일한 개념. 단, 같은 Area 내에서 Router에 OSPF만 설정되면 OSPF routing 정보를 공유할 수 있지만, IS-IS는 IS-IS도 설정 + Level이 1이거나 1-2인 IS끼리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.
그럼 Level 2(L2)와 Level 1(L1)간의 통신 방법은?
L2는 L2 Routing을 통해 얻은 Routing 정보를 자신이 속한 Area 내로 전달하지 않는다. 대신 LSP(IS-IS에서 Routing 정보를 전달하는 Packet)의 Attach bit(ATT)값을 1로 변경하여 전송한다. 해당 LSP를 받은 L1 IS는 그 LSP를 보낸 L2 IS를 향하여 Default Route(0.0.0.0)을 생성한다.
Level과 Area는 Router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Interface마다 설정될 수도 있다.
'Today_I_Learned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ubernetes 자주 쓰는 명령어 (0) 2021.12.16 VirtualBox로 .vdi -> .qcow2로 변환하기 (0) 2021.10.13 Kubernetes 설치2 : ~ Cluster 구성(Multi Node 구성 : Master / Worker) (0) 2021.09.08 Kubernetes 설치1 : ~ Kubernetes 설치까지 (0) 2021.09.08 Kubernetes 초보자에게 딱 적절했던 설명 영상 추천 (0) 2021.03.16